top of page

Mindscapes: The Artistic Universe of Heejung Kim

Heejung Kim’s Mindscapes invites us on a meditative journey through memory, cosmos, and the unseen poetry of everyday life

 

By Jonathan Goodman

Heejung Kim, a gifted multimedia artist, lives in the general area of Fort Lee in northern New Jersey, where her gallery is located. To fill the small but elegant space, Kim placed all the pieces up against the wall. They consisted of black sheets of paper, used as a background, with pinpoint stars sometimes establishing patterns and sometimes not.

The contrast between a thoroughly black atmosphere and pinpoint pricks of light is inherently beautiful. But no strong bridge can be found between the flat expanse of darkness and the diminutive explosions of brightness that come to contrast with their visual ground. Also, we cannot assert that Kim’s Korean cultural lineage is at hand; the work belongs to a late modernist vision, making it somewhat venerable if not exactly ancient—we remember modernism, the guiding set of precepts affecting the artist’s work. This decision affects Kim’s art strongly. But it doesn’t, connect only with its Western Europe origins anymore. The kind of style Kim presents is now part of worldwide language in arts and does not tie in closely with its origins a bit more than a century ago.

01 The World of Dots_48x120 inches_acrylic inks_wooden chopsticks_markers on wood panel_20
02 The World of Dots _detail view.jpg

(Left) ​The World of Dots, 48x120 inches, acrylic inks, wooden chopsticks, markers on wood panel, 2024   (Right: Detail View)

In fact, any discussion of a specifically Asian influence falls flat in light of Kim’s arts. A moving minimalism is the center of her esthetic. We are aware that minimalism, while originating in America, quickly took on a worldwide aspect—not exactly free of a Western outlook, but instead available even to East Asia, in China, Korea, and Japan. Inevitably, though, moments Asian in nature show through. Fort Lee is an Asian center near Manhattan, and it might be said, without exaggeration, that the pieces in the show had a contemplative meaning surrounding not only the stars but also the pointed imagination of a Buddhist monk meditating.

Dots 2, 12x12 inches, acrylic ink, marker, chopsticks, and paper on wooden panel,  2025.jp
1009MI~1.JPG

Left) Dots 2, acrylic ink, marker, chopsticks, and paper on wooden panel, 12x12 in, 2025          Mindscape 6, acrylic ink, wooden dowel rods, paper clay, 12x12 in, 2025

So the tiny bits of brightness are both a description of nature as we know, just as the black paper represents a vast latitude to be studied. So, the work is a metaphor for the near infinity of the imagination. This is not only exciting to see, it also engages and expands our knowledge. By suggesting the very small and very large, the artist grasps are interest.

The purpose of her art is not only descriptive but also metaphorical. We are lucky to see the stars shine in a smallish, enclosed space dictated by the black paper. Kim is close to a philosopher-her art pushes us in the direction of extended thought, made expansive by the extended expanse of space.

Mindscape 2_scratching on clay board_12x12 inches_2025.jpg
Mindscape 3_scratching on clay board_12x12 inches_2025.jpg
Mindscape 4_scratching on clay board_12x12 inches_2025.jpg

Mindscape 1-3, scratching on clay board, 12x12 in, 2025

To sum up, art has always been an intellectual expression, as well a tool of description. Kim, very much a conscious artist, holds this truth deep within.  Other works of art, made up of gently curving ribbons of paint, superimposed on very small bits and pieces of pure color (a kind of painted confetti) highlights the diminutive and the large than life within a reasonable perspective.  These contrasts, and the grand view the artist wants us to participate in resorts in memorable arts.

마인드스케이프: 김희정의 예술 세계

김희정의 '마인드스케이프(Mindscapes)'는 기억과 우주, 그리고 일상의 보이지 않는 시적 순간들을 따라가는 명상적 여정으로 초대합니다.

​조나단 굿맨 글

김희정 작가는 뉴저지 북부 포트리 지역에 거주하며, 자신의 갤러리도 이 근처에 위치한 다재다능한 멀티미디어 작가이다. 작고 우아한 전시 공간을 채우기 위해, 김 작가는 모든 작품을 벽면에 배치했다. 작품은 검은 종이를 배경으로 삼고, 그 위에 별처럼 빛나는 작은 점들이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거나 혹은 무작위로 흩뿌려져 있는 형식이었다.

깊은 암흑과 미세한 빛의 대비는 그 자체로도 시각적으로 아름답다. 그러나 그 평면적인 어둠과 그 위에 박힌 작은 빛의 폭발 사이에 강력한 연결 고리를 찾기란 어렵다. 또한, 김 작가의 작품에서 한국적인 문화 계보를 직접적으로 읽어내기는 힘들다. 오히려 그녀의 작업은 후기 모더니즘의 미학에 속해 있으며, 이는 고전이라기보다는 현대 예술의 전통을 계승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선택은 그녀의 작품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만, 더 이상 그 출발점이었던 서유럽에만 귀속되지는 않는다. 김 작가가 구사하는 스타일은 이제 전 세계적 예술 언어의 일부가 되었으며, 근대 미술의 초기 원류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다고 보긴 어렵다.

실제로 김 작가의 작품에 대해 특정한 아시아적 영향력을 논하는 것은 그리 설득력이 없다. 그녀의 미학 중심에는 '움직이는 미니멀리즘(moving minimalism)'이 자리하고 있다. 미니멀리즘은 미국에서 출발했지만 빠르게 국제적 양상을 띠었고, 이제는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물론 완전히 서구적 시각에서 자유롭지는 않지만, 동양에서도 공감되고 수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안에는 어렴풋이 아시아적인 정서가 스며들어 있다. 포트리는 맨해튼 인근의 아시아 커뮤니티 중심지이며, 전시된 작품들은 별을 넘어, 불교 승려가 명상 중 떠올릴 법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사유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작품 속의 작은 빛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의 일부를 표현하는 동시에, 검은 종이는 무한히 펼쳐진 상상의 공간을 상징한다. 이 작업은 상상력의 거의 무한한 확장을 은유하는 시각적 메타포로 기능한다. 단순히 감각적인 경험을 넘어, 관객의 인식과 사유를 자극하는 이러한 표현은 감동적이며, 우리의 인식을 넓혀준다. 극도로 작고 동시에 거대한 것을 암시함으로써, 김 작가는 관객의 관심을 효과적으로 끌어낸다. 그녀의 예술은 단순한 묘사를 넘어 메타포로 기능하며, 철학적 성찰로 우리를 이끈다. 검은 종이 위에서 반짝이는 별빛은 단순한 시각적 표현이 아닌, 내면의 사유와 명상을 자극하는 장치이다.

김 작가는 철학자에 가까운 예술가다. 그녀의 작업은 관객으로 하여금 깊이 있는 사고를 유도하며, 무한한 우주적 공간을 통해 사유의 지평을 확장시킨다. 요약하자면, 예술은 언제나 지적인 표현이자 동시에 세계를 기술하는 도구였다. 김 작가는 이러한 진실을 내면 깊이 간직하고 있는 의식적인 작가이다.

또 다른 작품에서는 곡선 형태의 리본 같은 붓질이 작고 순수한 색채 조각들과 겹쳐지며 구성된다. 이는 일종의 '회화적 콘페티(painted confetti)'처럼 보이는데, 작고 정제된 요소들과 대담한 곡선의 대비를 통해, 미시적인 것과 거시적인 것을 동시에 조망하게 한다. 이러한 시각적 대비와 철학적 깊이는 김 작가가 우리에게 제안하는 ‘확장된 시야’의 일부로서, 기억에 남을 만한 예술적 경험을 만들어낸다.

 

contributor_938.jpg

 

Jonathan Goodman

Jonathan Goodman is an art writer based in New York. For more than thirty years he has written about contemporary art–for such publications as Art in America, the Brooklyn Rail, Whitehot Magazine, Sculpture, and fronterad (an Internet publication based in Madrid). He currently teaches contemporary art writing and thesis essay writing at Pratt Institute in Brooklyn.

Chief Editor: Paris Ko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