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Soonnam Kim Solo Exhibition
Harmonic Abstraction: Indra’s Net in Motion
Apr / 1 - 10, 2025
Paris Koh Fine Arts
201 Bridge Plaza North, Suite 1, Fort Lee, NJ 07024
pariskohfinearts.com
By Jonathan Goodman
Soonnam Kim returned to Seoul a number of years ago after spending several years in New York City. In this fine show at Paris Koh Fine Arts, located in Fort Lee, New Jersey, she presented an unusually attractive body of work, mostly in groups of two or four compositions, arranged around the walls of the gallery space. These paintings are entirely abstract, consisting of groups of lines placed very closely next to each other. The lines stand out against a highly mixed background of small daubs of paint. The overall feeling is one of both control and near anarchy.
Because Kim includes no real representational imagery in her works of art, we can only respond to the art as abstract. Nothing we might call “real” comes to mind when we look at these paintings. Instead, we experience a dazzling interplay of seemingly captured light held within the often geometric shapes she employs.


Serenade No.17-Harmony, 2024, Oil on Linen, 60.6x60.6cm
Serenade No.18-Harmony, 2024, Oil on Linen, 60.6x60.6cm
ⓒSoonnam Kim
It makes sense to reflect for a moment on Kim’s mixed cultural allegiances. She is an excellent painter who puts her skills to good use. Even so, we encounter her work and must place it within an art milieu that was created and grew within Western culture. Clearly, her time in New York City meant a great deal to her; her art demonstrates a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nonobjective painting.


Serenade No.26-Harmony, 2025, Oil on Linen, 60.6x60.6cm
Serenade No.25-Harmony, 2025, Oil on Linen, 60.6x60.6cm
ⓒSoonnam Kim
The most pressing questions raised by these works of art have to do with the cultural tensions that arise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Asian painting traditions. Kim stands on the cusp between the innovations of Western modernist painting—innovations that have by now been thoroughly internalized all over the world—and her own Korean background. As I have said, these two orientations can today be easily reconciled because of the global spread of imagery.


Serenade No.10-Harmony, 2023, Oil on Linen, 45.5x45.5cm
Serenade No.11-Harmony, 2023, Oil on Linen, 45.5x45.5cm
ⓒSoonnam Kim
As a result, Kim has the freedom to work however she wishes. Her individualism is influenced by imagery from a Western orientation, but such an outlook must still be interpreted and reshaped by the artist—and Kim has done this remarkably well. Her insight into abstract imagery is likely sharpened by a quick eye for ways of seeing that do not originate from her native culture. Kim thus teaches us that there are few, if any, real boundaries separating one mode of seeing from another. Remaining open is a significant intellectual achievement in art—but Kim goes further than that. She makes the very appearance of her paintings sing, celebrating both art and art histories (plural intended) within a single moment.
김순남은 뉴욕에서 여러 해를 보낸 뒤, 몇 년 전 서울로 돌아왔다. 뉴저지 포트 리에 위치한 파리스코 파인 아트(Paris Koh Fine Arts)에서 열린 이번 전시에서 그녀는 이례적으로 매력적인 작품들을 선보였으며, 대부분 두 점 또는 네 점씩 짝지어진 구성으로 갤러리 벽면을 따라 전시되었다. 이 작품들은 전적으로 추상 회화로, 서로 매우 가까이 배치된 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선들은 작은 붓터치로 이루어진 복합적인 배경 위에 뚜렷하게 드러난다. 전체적으로는 통제와 거의 무질서에 가까운 역동성 사이의 긴장감을 자아낸다.
김의 작품에는 명확한 재현적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이 작품들을 오직 추상으로서만 감상하게 된다. 회화를 바라볼 때 '현실적인 것'이라고 부를 만한 이미지는 떠오르지 않는다. 대신, 우리는 종종 기하학적인 형태 속에 붙잡힌 듯한 빛의 눈부신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김의 혼합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잠시 성찰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그녀는 탁월한 기술을 지닌 화가이며, 그 능력을 작품에서 훌륭히 발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녀의 작업을 서구 문화 속에서 만들어지고 성장한 예술 환경 속에 놓고 감상하게 된다. 분명히 뉴욕에서의 시간은 그녀에게 깊은 의미가 있었으며, 그녀의 작업은 비대상 회화(nonobjective painting)에 대한 정교한 이해를 보여준다.
이 작품들이 제기하는 가장 본질적인 질문은, 서양과 아시아 회화 전통 사이의 큰 차이에서 비롯되는 문화적 긴장에 관한 것이다. 김은 서구 모더니즘 회화의 혁신—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철저히 내면화된 - 과 자신의 한국적 배경 사이의 경계에 서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오늘날에는 이미지의 세계적 확산 덕분에 이러한 두 가지 방향성은 쉽게 통합될 수 있다.

그 결과, 김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그녀의 개인주의는 서구적 시각 언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러한 시각은 반드시 작가에 의해 해석되고 재구성되어야 하며, 김은 이를 놀라울 정도로 잘 수행해냈다. 그녀의 추상적 이미지에 대한 통찰력은 본래 자신의 문화에 뿌리를 두지 않은 시각적 방식에 대한 민감한 감각에 의해 더욱 예리해졌을 것이다. 김은 우리에게 서로 다른 시각적 방식들 사이에 실질적인 경계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가르쳐준다. 열린 태도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예술에서 중요한 지적 성취이지만, 김은 거기서 더 나아간다. 그녀는 회화의 외형 자체를 노래하게 하며, 단 하나의 순간 속에서 예술과 '예술사들(복수형)'을 동시에 기념한다.

Jonathan Goodman
Jonathan Goodman is an art writer based in New York. For more than thirty years he has written about contemporary art–for such publications as Art in America, the Brooklyn Rail, Whitehot Magazine, Sculpture, and fronterad (an Internet publication based in Madrid). He currently teaches contemporary art writing and thesis essay writing at Pratt Institute in Brooklyn.
Chief Editor: Paris K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