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rtist Sora Shin

"Through 'Tactile Op Art,' the artist transforms industrial materials into poetic explorations of emotion, perception, and human connection"

Interview By Paris Koh

 

 

1. Can you tell us a bit about yourself and your background as an artist?


I am a visual artist engaged in what I call “Tactile Op Art,” a practice that weaves emotion and relationships into a visual language rooted in Op Art. While I draw from the visual vocabulary of Op Art, I aim to embed it with emotional warmth and tactile narrative.
With a background in textiles, I have been weaving emotional topographies derived from visual distortions and perceptual discrepancies. The core of my work lies in visually exploring the potential for connection created through difference and complementarity—between people, in love, and within relationships.
I work with lenticular sheets, staples, and resin—industrial, functional materials that I reinterpret as metaphorical languages of emotion and connection:

  • Lenticular represents perceptual imperfection, as the image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 Staples, which must bend to connect different objects, metaphorically reflect the structure of love—often requiring sacrifice and exhaustion.

  • Resin, which slowly hardens from liquid to solid, emits heat in the process, symbolizing how emotions permeate and solidify over time.

2. What themes or messages do you aim to convey through your art?

I focus on perceptual gaps, errors of recognition, and the emotional "distance" between people. I aim to visualize complex scenes created not from a singular gaze, but from the intersection of differing perspectives.
I believe that “difference is a blessing that transcends right and wrong, and distance is an uncomfortable void that allows the world to breathe.” My work questions whether we can learn to face and even love that space between us.
Through these woven emotional narratives, I hope to offer a sense of warmth and comfort to those who encounter my work.

KakaoTalk_20250430_165019878.jpg

Wave, 2024, Lenticular weaving, 59x120 cm

3. How do you approach a new artwork, from concept to completion?

Creative Process (From Idea to Completion)
My process begins with observation. I look at ordinary objects and materials in unfamiliar ways to discover new meaning. For example, I saw “differences in perspective” in the color shifts of lenticular material, and the “structure of love” in a staple.
I then proceed through deconstruction, reassembly, and a kind of weaving—binding together disparate emotional and material elements into cohesive, narrative-driven images.
I aim to extend the language of Op Art from optical illusions to emotional resonance—provoking not just visual curiosity but also sensory empathy.
While I plan the work carefully, I always leave room for improvisation and flexibility within the process.

4. What inspires your artwork, and how does your environment influence your creative process?


I love visiting hardware and materials markets in Euljiro, where functional, industrial objects are sold. These places feel like sensory marketplaces to me—rich with inspiration.
Many of my ideas emerge from encountering new materials and reinterpreting them through the lens of emotion.
Inspiration often hides in the everyday and reveals itself when most needed. That’s why I believe living each day fully is the most important preparation for creativity.

 

5. What challenges have you faced as an artist, and how have you overcome them?

Challenges and How I Overcome Them
The greatest challenge in my practice is managing my physical condition. Art is ultimately realized through the body, so health is directly tied to creative sustainability.
When I lose direction, I recall that “only by getting lost did I arrive somewhere new.” This helps me trust the process.
I also view failed experiments as valuable data points, and I try to move on without too much attachment.
For me, the strongest engine for such positive thinking is my faith.

 

6. Does your identity as an Asian inform your art, or do you think it's irrelevant?

Influence of Asian Identity on My Work
While my materials and imagery may not directly reference traditional East Asian aesthetics, the act of weaving, and the concepts of emptiness, community, and harmony naturally align with an Eastern sensibility.
Growing up immersed in Korean culture and language has undoubtedly shaped my sensory and intuitive responses, which I believe subtly permeate my work in nonverbal ways.​​

4.Prism of Love 22x22x8cm Staples,Resin2025.jpg
3.Prism of Love 22x22x8cm Staples,Resin2025.jpg

Prism of Love series, 2025, Staples, Resin, 22x22x8cm

 

 

7. Can you describe your daily routine as an artist? What practices or habits are essential to your creative process?

Creative Routine and Habits
One of my main creative habits is simply going to the studio every day. I often say, “Even if you’re going to play, play in the studio.” It’s a small promise I make to myself that keeps me grounded.
If I can’t experiment with an idea immediately, I record it in notes or sketches so that the inspiration stays close to me.
Of course, sometimes I misplace those notes—but I try to keep the inspiration near for as long as I can.

 

8. What upcoming artworks, projects, or exhibitions are you currently working on?

Lately, I’ve been experimenting with using resin—usually a finishing or mold material—as a flat pictorial medium in what I call “resin drawings” and “resin paintings.”
As resin slowly heats and hardens, it mimics the chemical process of love—making it an apt and compelling material for capturing the temperature and flow of emotions.
I’m currently preparing for a solo exhibition in the second half of 2025 and am also collaborating on a project with a corporate partner.

​​​

 

 

1. 자기소개와 작가로서의 배경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저는 감정과 관계를 직조하는 ‘촉각적 옵아트(Tactile Op Art)’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 시각예술가입니다. 옵아트의 시각적 언어를 기반으로 하되, 그 안에 감정의 온도와 촉각적인 내러티브를 담고자 합니다.
텍스타일 전공을 바탕으로, 시각적 오류와 인식의 차이로부터 파생된 감정의 지형을 직조해왔습니다. 사람과 사랑, 그리고 ‘다름’과 ‘보완’이 만들어내는 연결의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저의 작업의 핵심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렌티큘라, 스테이플러심, 레진은 모두 산업적이고 기능적인 재료이지만, 이를 감정과 관계의 은유적 언어로 새롭게 해석합니다.

  • 렌티큘라는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지는 재료로, 서로 다른 시선에서 비롯되는 인식의 불완전성을 상징합니다.

  • 스테이플러심은 서로 다른 대상을 연결하면서도 구부러져야 하는 재료로, 희생과 소진을 동반한 사랑의 구조를 은유합니다.

  • 레진은 액체에서 고체로, 서서히 열을 내며 굳어가는 과정 속에서 감정이 물들고 응고되는 시간과 온도를 표현합니다.

2.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나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저는 시각적 간극과 인식의 오류,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간격’에 주목합니다. 한쪽의 시선이 아닌, 서로 다른 관점이 교차하면서 만들어지는 복합적인 장면을 시각화하고자 합니다.
"다름은 옳고 그름을 넘어선 다양한 모양의 축복이며, 간격은 세상을 숨 쉬게 하는 불편한 여백"이라는 믿음 아래, 그 여백을 마주하고 사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 작업을 통해 질문합니다.
이러한 감정의 결을 따라 직조된 장면들이 누군가에게 따뜻한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3.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 아이디어 구상부터 완성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시나요? 작업 방식(아이디어에서 완성까지)

작업은 관찰에서 시작됩니다. 무심히 스쳐 지나갈 수 있는 사물이나 재료를 낯설게 바라보며 새로운 의미를 찾습니다. 렌티큘라의 색 변화에서 ‘관점의 차이’를, 스테이플러심에서 ‘사랑의 구조’를 발견한 것도 그 예입니다.
저는 해체와 재구성, 그리고 직조의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감정과 물성을 하나의 서사적 이미지로 엮습니다.
옵아트의 시각 언어를 감정의 결로 확장하며, 착시나 시지각 실험을 넘어 감각적 공감과 정서적 반응을 이끄는 시각적 서사를 추구합니다.
계획은 세우되, 과정 속에서 유연하게 흐를 수 있도록 늘 여지를 남겨둡니다.

 

 

4. 작품에 영감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또, 주변 환경은 창작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저는 ‘을지로 철물점’과 ‘공구 부자재 시장’에 가는 것을 즐겨합니다. 기능적인 오브제들이 모여 있는 이 공간들은 마치 감각의 시장처럼 느껴집니다. 새로운 재료를 마주하고, 이를 감정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많은 아이디어가 떠오릅니다.
영감은 일상 속에 숨어 있다가, 꼭 필요할 때 불쑥 나타납니다. 그렇기에 매일을 충실히 살아내는 것이 창작을 위한 가장 중요한 준비라고 믿습니다.

 

 

5. 작가로서 겪은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작업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신체적인 컨디션 관리입니다. 예술은 결국 몸을 통해 구현되기에, 건강이 곧 창작의 지속성과 연결됩니다.
또, 작업 중 방향을 잃을 때는 “길을 잃었기에 새로운 장소에 도착할 수 있었다”는 기억을 되새기며 과정을 믿고 나아갑니다.
실험에서의 실패 역시 좋은 데이터 하나가 쌓인 것이라 생각하며, 가볍게 털고 나아가려 합니다.이러한 긍정적인 생각의 가장 큰 동력은 신앙이라고 생각합니다.

 

 

6. 아시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무관하다고 보시나요?

 

소재나 이미지에서는 전통적인 동양적 미감과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지만, ‘직조’라는 방식과 ‘여백’, ‘공동체, ‘조화’의 개념은 자연스럽게 동양적 감수성과 맞닿아 있습니다.
한국이라는 문화와 언어 안에서 성장하며 자연스레 내재된 감각이 비언어적으로 작품에 스며드는 것 같습니다.

 

 

7. 작가로서의 일상 루틴을 말씀해 주세요.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습관이나 실천이 있다면요?

 

매일 작업실에 가는 것을 하나의 루틴으로 삼고 있습니다. “놀더라도 작업실에서 놀자”는 말은 제가 저에게 주는 가장 작지만 큰 미션 중 하나 입니다.
당장 실험할 수 없는 아이디어는 메모나 스케치로 기록해두며, 그 영감을 제 옆에 오래 잡아두려 고 노력합니다. 가끔 메모를 어디에 뒀는지 잊는다는 변수가 생기기도 하지만요.

 

 

8. 현재 작업 중인 작품이나 프로젝트, 예정된 전시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최근에는 ‘레진드로잉’과 ‘레진페인팅’이라는 이름 아래, 작업의 마감이나 몰드의 형태로 주로 사용되는 레진을 평면 회화적 재료로 사용하는 실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서히 열을 내며 굳어가는 레진의 특성은 ‘사랑의 화학 작용’과 닮아 있어, 감정의 온도와 흐름을 담아내는 데에 적합하고 매력적인 매체라고 생각합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개인전을 계획 중이며, 기업과의 협업 프로젝트도 진행 중입니다.

Chief Editor Paris Ko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