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useum…will be a warehouse store of old things, not any activities”
– Ramesh Prasad Dawadi

Ramesh Prasad Dawadi is an attorney in Kathmandu and is also Chair of the Executive Board,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Nepal. Dawadi has in-depth knowledge about museum and community engagement. He recently met with Jeanne Brasile, just outside of the Medieval city of Bhaktapur, to discuss his work in the museum sector and present initiatives he is undertaking. In particular they discussed museum funding, training, education, and the repatriation of art objects back to Nepal.
Jeanne Brasile: Can you tell us what forms of research, advocacy, and awareness informs your work as the chair of ICOM in Nepal?
Ramesh Prasad Dawadi: ICOM is right now in the ninth year of its establishment, and then our priority is the research, advoca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The museums all over Nepal come under the umbrella of the ICOM Nepal, and then after we start the research - but the problem for us is funding. I already told you the government doesn't provide any support, and then in Nepal there are no big companies who give the support under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That's why we, from our members, will collect a certain amount, and then we'll research. Recently - after two, three months - we published the first book on the museum in the Nepali language. We titled it, in English, The Museum, and we covered the whole situation of the museum all over Nepal, and we'll go again in the second edition.
That job is research and publication. We started, but I don't know how we can manage it. We don't have enough funds, but we are on the final stage of our first book.
…and then on the case of advocacy, in Nepal, there is no museum law, museum policy, and no authority - who guides, who regulates - the museums.
If anyone goes to register their museum, there is no clear place where we go to register our museum. In our country, there are three levels of government; federal government, provinci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can do their job; but how we operate and where we list it, where we register our inventory, where we register our art object is not clearly mentioned. We cannot insure our objects and buildings - museum and heritage buildings - because if we go to insure them right now - they will depreciate like other (commodities) like a car, or your watch is depreciating, but the price of the art object is increasing.
JB: Correct.
RPD: That's opposite. That's why we have many, many issues to tell the government and concerned authorities, but until now, even with advocacy, the government is not listening to our voice.
JB: So the publication of the museum book will hopefully...
RPD: It is going to be published within a month.
JB: And is that book going to address some of these issues that you just spoke about or is it going to focus on a different topic or topics? RPD: Yes, focusing on different topics. We are not right now on the theme basis, just we collect museum related articles (from colleagues.) We have limited support in the museum sector, and we request them to provide the article to us, free of cost, voluntarily.
JB: Of course.
RPD: And then after we collected 15, 16 articles and our committee finalized it, we sent it to the press and I hope within a month it will be published. It will be the first publication of museology in Nepal. JB: That’s amazing.
RPD: Yes.
JB: Yesterday when we were speaking, you were talking about the lack of program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to train museum professionals. So that must be another challenge you're facing.
RPD: Yes, exactly. We have limited manpower working in the museum and if they wanted to uplift their capacity - their knowledge - museum professionals don't have a way to join the university, or a training center. We face a huge lack because in India and China, there are programs there and we can go, but it's costly. We cannot sustain it. Our purchasing capacity is very low. That's why it is more expensive for us.
And certain students go abroad who are financially a little bit sound. They go to abroad for the museology and museum-related courses, but there are now four or five students right now abroad. But here, no.
There is a vacuum in the education sector, in the training sector. That is, we are telling the government, if you cannot do it right now, then how can we imagine our future? We are pressuring the government.
JB: These are very pressing issues.
RPD: Yes, yes. In 2017, the Lumbini Buddhist University started the course of museology at the master's degree level, but it could not survive. After three or four batches, it automatically collapsed. They stopped it because of their financial condition. Right now, we don't have the museum-related courses in Nepal’s universities.
And in school also, we pressured the government to, please - have students on their social history subjects - require them to write something about the museum, museum-related, and give students an assignment on the museum. That type of culture, you have to start right now. Otherwise, the museum, people’s understanding of them, will be of old things that will be warehoused (there), a store of old things, not any activities.
That's why to live the museum, to develop the museum, you have to send the student for their research, for their assignment, for their excursion to the museum. We have made requests to the three types of government; central government, provinci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rom our side.
JB: It's important because if students aren't aware that there's even an opportunity to work in museums, what that would consist of, or that museums are for them as well, not just places where you put stuff. How do you get the next generation involved to do the work that you're trying to do?
RPD: Yeah, exactly. Yeah.
JB: So I think it's really interesting that you have a legal practice. That's your main, profession. And then you have taken on the role of director of ICOM on the side. Was that an intentional choice when you went into law to work in museums and culture, or did that just happen later?
RPD: Normally, until this time, I gave my potential time to the legal profession. But about ten years ago, I started a little bit increasing my time and dedication to the sector of museum. Now my time is 50-50.
I gave 50% to the legal and 50% to the museum sector. Why I gave 50% to the legal is I have to generate certain money.
JB: Of course.
RPD: In the museum sector, till this time, I just invested the money. I cannot get anything from the museum sector. And my planning is, my plan is, I already told you, if possible, I wanted to set up this house for the museum study, museum research, museum residency program.
But right now, we cannot start it. But in the future, I'm planning to do something for the museum sector. And my future will be totally dedicated to the museum sector because I I will stop my income generation.
After three, four, five years from now, I will stop it and I will dedicate all my life - my remaining life - to the museum sector.
JB: Wow. Yeah, that's amazing.
RPD: Yeah. If we cannot do anything, then we cannot do anything for the future of Nepal in the museum sector.
JB: So speaking about the future of Nepal, the issue of repatri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America and Europe right now, although there's still a good deal of resistance from museums to return cultural patrimony back to the countries and communities from which they were taken. And it's important. I was just reading that the British Museum Act of 1963 is actually a legal hurdle to doing that. What can you or organizations like ICOM or UNESCO do to challenge laws that prevent or stop museums in the West from returning objects back to their rightful place in countries like Nepal?
RPD: In my understanding, the major problem for us is we did not start the inventory of the object.
If we make an inventory and if we register it with the concerned authority, then the art object, we can find it properly. But right now, certain art objects we saw on the individual level or in a museum, or any places abroad, we cannot repatriate due to lack of a proper inventory, number one. And number two, we don't have the policy to repatriate it.
The government repatriates under an administrative decision, not at the policy level. If we make the policy, if we make the law for the repatriation - and that's why another major problem for us is - if we get the chance to exhibit our art objects abroad in the US or somewhere - the government doesn't give us the permission to exhibit our object over there. Because even if we can send our object, then there is no law to get it back again.

It's the major problem for us. The repatriation of certain art objects is the government doing by an administrative decision, not by the policy, not by the law. It is our major problem. And we gave – and certain Nepali art lovers gave – information (object inventories) to the government, but it is the major task of the government, how to repatriate these objects.
The government doesn't make the planning policy until this time. We advocate to the government, please, can you contact these entities and start the process to repatriate. But the government is very slow, very – and not giving the priority to the art object.
They don't know why. What is the meaning? Why would we invest money in repatriation? They are thinking in this way. It is a problem.
JB: It is a problem. It's really interesting that we spoke about this last night, the mayor of Laliput, Sanjay Adhikari, recently led a successful effort to get a 10th century statue of Lakshmi and Narayan from the Dallas Museum in the United States back to Nepal. So can you maybe remark about how in the West, museums are kind of places where objects go to die. They cease to become objects that are venerated, or used in rituals, or worshipped, and instead become collections. And conversely, what the outlook is here in Nepal. Here's a quote that the mayor said, “I could not sleep, our God was locked in a museum in the US.” And so those are two very different positions.
Lakshmi and Narayan statue repatriated to Nepal. 10th to 15th century, carved wood. Image by Daderot
RPD: Right. And, you know, the major problem for us is at this time, our museum doesn't have an idea how to develop the inventory because in future also their object might be stolen and goes abroad. They are not conscious of that in the underdeveloped societies. The art object is very easy to collect, easy to take, easy to steal. Because the people sell it for the small money. That is the problem. Our government has a Curio Center under the Department of Archaeology which issues certificates stating that an object leaving the country is not a masterpiece. They will write “it is a replica” and the masterpiece goes to the outside. Yes. That's the problem for us.
Without three or four entities coordinating, it cannot leave Nepal because it goes by plane, it goes by courier, it goes by ports. That object will be checked at the border, but how the object goes to the outside is very interesting. Without the coordination of the government, certain government people and certain customs people, it might be difficult to trace that it went to outside Nepal 20, 30, 50 years ago. But there are people here, who know very well about that the objects are from here in Nepal. And just like the story, like the stolen Lakshmi and Narayan, people are just guessing that it is our object, this Lakshmi and Narayan is our object. The people who know very well about Lakshmi and Narayan cannot show the object because the only one evidence of whose object it is, is the inventory.
JB: Which you don't have.
RPD: Yes. And we don't have the inventory, just a statement that this is our object, but when did its ownership change? They cannot find out easily. That's why many objects we cannot claim legally, in proper ways. It's our problem.
JB: So everything really hinges, again, comes back to - the inventory and the structure. This is my last question, because you've been very generous with your time. How can curators, museums, and audiences in the US and Europe be allies for your cause and your life's work? How can we help you in Nepal to achieve what you're trying to do?
RPD: Exactly. We have the list of stolen objects of Nepal. We have a book. And in the book, we have the images in that book, you can find a very big book of stolen images of Nepal. And that book, on the basis of that book, from outside, the art lover, when they saw the object in a museum or some places, and then, that book, it is the Stolen Images of Nepal, they will take the return of the object. But that is not a proper inventory.
But the Lakshmi and Narayan object happened like that. The images like in this book showed it as stolen at that time.
And the curator, the museum professional, if they know about that art object by their visit, they will inform the government, “I saw our object in that institution, that museum, or that our object with that people,” they will inform. But the government doesn't coordinate between the institution and government. That is the problem.
And we are coordinating, we are telling the government to work something out for our stolen objects. But the government is not interested. We are really, we cannot do, a small organization cannot do anything on that matter.
JB: Right, right. Well, the good news is, is that American museums generally have very good inventories and that can be of assistance to you.
_edi.jpg)
Photo of Bhaktapur Durbar Square. Courtesy of Jeanne Brasile
RPD: Yes. In advanced societies nowadays, they are interested in handing over the stolen object spontaneously. They will take it easily and without any ethical judgments or legal action against the museum. That is an incentive to repatriate to the concerned people.
They (museums) easily hand over nowadays, but the problem is our art objects, are not only in the museum, but in many private collections. So that also makes it very difficult to repatriate.
JB: That's much harder, from the private collections. You don't even know where they are.
RPD: Yes, private collection is the problem. Yeah, yeah.
JB: These are really pressing issues. Thank you for taking the time to explain this to me.
RPD: It's my pleasure and a great opportunity because I meet you and you, at least you get the information about our situation, our organization, and you will, if possible, you will coordinate, connect with the other foundations or entities while working in the sector of museums, not only here, but abroad also.
If you find certain networking opportunities, please, yes, yes, please be an ambassador of Nepal. JB: Yes, let's stay in touch. And yes, it would be my pleasure to work on initiatives like that when I go back home. Yes, thank you.
RPD: And in the future, we'll get a certain program benefit by our meeting. Yes.
JB: I am hopeful. That is my hope. Museums bring people together and that's the beautiful thing about museums. Thank you.
RPD: Thank you.
“박물관은 … 오래된 것들의 창고 같은 곳이 될 것이며, 어떠한 활동도 없을 것이다.”
– 라메시 프라사드 다와디

라마쉬 프라사드 다와디는 카트만두에서 활동하는 변호사이자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네팔 지부의 집행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다. 그는 박물관과 지역 사회의 연계에 대해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최근 그는 중세 도시 박타푸르 인근에서 잔 브라실레(Jeanne Brasile)와 만나, 박물관 분야에서의 자신의 활동과 현재 진행 중인 여러 이니셔티브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두 사람은 박물관의 자금 조달, 교육 및 훈련, 그리고 예술품의 네팔 반환 문제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Jeanne Brasile: ICOM 네팔 지부의 의장으로서, 어떤 형태의 연구, 옹호, 그리고 인식 제고 활동이 귀하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Ramesh Prasad Dawadi: ICOM은 현재 설립 9년 차이며, 우리의 우선순위는 연구, 옹호, 그리고 조직의 발전입니다. 네팔 전역의 박물관들은 ICOM 네팔의 우산 아래에 속해 있으며, 연구를 시작했지만 우리에게 가장 큰 문제는 자금입니다. 이미 말씀드렸듯이 정부는 어떠한 지원도 제공하지 않으며, 네팔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대기업도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회원들로부터 일정 금액을 모아 연구를 진행합니다. 최근 2~3개월 전, 우리는 네팔어로 된 첫 번째 박물관 책을 출간했습니다. 영어 제목은 The Museum이며, 네팔 전역의 박물관 상황을 다루었습니다. 앞으로 두 번째 판도 발간할 예정입니다.
이 작업은 연구와 출판의 일환입니다. 우리는 시작했지만, 이를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자금이 부족하지만 첫 번째 책은 최종 단계에 있습니다.
…그리고 옹호 측면에서, 네팔에는 박물관 법, 박물관 정책, 그리고 박물관을 지도하고 규제할 권한이 없습니다.
누군가 박물관을 등록하려 해도, 어디에 등록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연방 정부, 주 정부, 그리고 지방 정부라는 세 가지 수준의 정부가 있으며, 각각의 정부가 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박물관을 어떻게 운영하고, 어디에 목록을 작성하며, 어디에 재고 및 예술품을 등록해야 하는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박물관과 문화유산 건물에 보험을 가입할 수도 없습니다. 현재 보험에 가입하면 자동차나 시계처럼 감가상각되지만, 예술품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JB: 맞습니다.
RPD: 그렇죠, 정반대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정부와 관련 기관에 수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정부는 우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습니다.
JB: 박물관 책의 출판이 이러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RPD: 책은 한 달 내에 출판될 예정입니다.
JB: 그 책은 방금 말씀하신 문제들을 다룰 예정인가요, 아니면 다른 주제에 초점을 맞출 예정인가요?
RPD: 예, 다른 주제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현재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로부터 박물관 관련 기사를 모아 편집했습니다. 박물관 분야의 지원이 제한적이어서, 우리는 그들에게 무료로, 자발적으로 기사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JB: 그렇군요.
RPD: 이렇게 15~16개의 기사를 모은 후 위원회가 이를 최종 확정하여 출판사에 보냈습니다. 한 달 내에 출간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것은 네팔에서 최초의 박물관학 관련 출판물이 될 것입니다.
JB: 대단하네요.
RPD: 네, 그렇습니다.
JB: 어제 말씀하시길, 대학과 단과대학에서 박물관 전문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하셨습니다. 이것도 또 다른 도전 과제일 것 같습니다.
RPD: 맞습니다. 현재 박물관에서 일하는 인력이 제한적이고, 그들이 역량을 강화하고 지식을 넓히고 싶어도 대학이나 훈련 기관에 참여할 방법이 없습니다. 인도와 중국에는 관련 프로그램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듭니다. 우리의 구매력은 낮기 때문에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재정적으로 조금 더 여유 있는 학생들은 해외로 가서 박물관학과 관련 과정을 이수하지만, 현재 그런 학생은 4~5명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네팔 내에서는 그런 과정이 없습니다.
교육 부문과 훈련 부문에서 큰 공백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정부에, 지금 당장 할 수 없다면 미래를 어떻게 상상할 수 있겠냐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JB: 정말 시급한 문제네요.
RPD: 그렇습니다. 2017년에 룸비니 불교대학교에서 박물관학 석사 과정을 시작했지만, 재정 문제로 3~4기 후에 폐지되었습니다. 현재 네팔의 대학에는 박물관 관련 과정이 없습니다.
또한 학교에서도 정부에 압박했습니다. 학생들이 사회 역사 과목에서 박물관에 관한 글을 쓰도록 하고, 박물관 관련 과제를 주며, 학생들이 박물관에 대한 이해를 넓히도록 요청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은 박물관을 오래된 물건들이 저장된 창고로만 이해하게 되고, 활동이 없는 공간으로 인식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박물관을 살리고 발전시키려면, 학생들이 연구, 과제, 탐방을 위해 박물관을 방문하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지역정부에 이를 요청했습니다.
JB: 학생들이 박물관에서 일할 기회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박물관이 단순히 물건을 보관하는 곳이 아니라 자신들에게도 열려 있는 공간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면, 차세대를 어떻게 참여시켜서 당신이 하고 있는 일을 이어가게 할 수 있을까요?
RPD: 네, 맞습니다. 정확히 그렇습니다.
JB: 흥미로운 점은, 당신이 법률가로서 활동하는 것이 본업인데, 동시에 ICOM의 이사 역할도 맡고 있다는 것입니다. 법조계에 들어갈 때부터 박물관과 문화 분야에서 일하기를 의도하셨나요, 아니면 나중에 그렇게 된 건가요?
RPD: 지금까지는 제 주요 시간을 법조계에 쏟았습니다. 하지만 약 10년 전부터 박물관 분야에 제 시간과 헌신을 조금씩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제 시간을 법조계와 박물관 분야에 50대 50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제가 법조계에 50%의 시간을 투자하는 이유는 일정 수입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JB: 그렇군요.
RPD: 박물관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돈을 투자만 했을 뿐, 아무런 수익도 얻지 못했습니다. 제 계획은, 이미 말씀드린 것처럼, 가능하다면 박물관 연구, 박물관 학습, 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을 설립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이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미래에는 박물관 분야를 위해 무언가를 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는 제 남은 인생을 전적으로 박물관 분야에 헌신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3~5년 후에는 수입 창출을 중단하고 박물관 분야에만 전념할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JB: 와, 놀랍네요.
RPD: 네, 만약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네팔 박물관 분야의 미래를 위해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JB: 네팔의 미래와 관련하여,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 특히 중요한 이슈가 반환(문화재 환수) 문제입니다. 서구의 많은 박물관들이 문화 유산을 원래의 국가와 공동체에 돌려주는 것에 여전히 큰 저항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에 1963년 영국 박물관법이 이러한 반환을 가로막는 법적 장벽이라는 것을 읽었습니다. ICOM이나 유네스코 같은 단체가 이러한 법을 어떻게 도전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까요?
RPD: 제 생각에, 우리에게 가장 큰 문제는 아직 유물의 인벤토리를 시작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인벤토리를 작성하고 이를 관련 기관에 등록한다면, 유물을 제대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해외의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품에서 발견된 특정 유물은 적절한 인벤토리가 없기 때문에 반환받을 수 없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문제입니다. 두 번째로는 반환에 대한 정책 자체가 없다는 점입니다.
현재 정부는 행정적 결정에 따라 일부 유물을 반환하고 있지만, 정책 차원이나 법률 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반환을 위한 정책과 법을 만든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큰 문제는, 우리가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우리 유물을 전시할 기회를 얻더라도, 정부가 해외 전시 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유물을 보낼 수 있더라도, 다시 돌려받을 법적 장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주요 문제입니다. 특정 유물의 반환은 정부가 행정적 결정으로 진행하지만, 정책이나 법률이 기반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네팔의 예술 애호가들이 정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이 반환 과정을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핵심입니다.
정부는 지금까지 계획이나 정책을 마련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정부에, 해당 기관과 접촉하여 반환 절차를 시작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옹호하지만, 정부는 매우 느리고, 예술품을 우선순위에 두지 않습니다.
RPD: 그들은 왜 그래야 하는지 모릅니다. ‘왜 반환에 돈을 투자해야 하지? 의미가 뭐지?’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것이 문제입니다.
JB: 맞습니다. 정말 심각한 문제네요. 어젯밤 우리가 나눈 대화에서, 라리푸트의 시장 산제이 아디카리가 최근 미국 댈러스 미술관에서 10세기 락슈미와 나라얀 동상을 네팔로 성공적으로 반환시켰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서구에서는 박물관이 물건이 죽어가는 곳, 즉 예배되거나 의식에 사용되거나 숭배되던 물건이 단순히 수집품으로 전락하는 공간이 되어버립니다. 반대로 네팔에서는 그 관점이 완전히 다르죠. 시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 신이 미국의 박물관에 갇혀 있다는 생각에 잠을 잘 수가 없었다.” 이 두 입장은 매우 다릅니다.
RPD: 맞습니다. 지금 우리의 가장 큰 문제는 박물관들이 인벤토리를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지조차 모른다는 것입니다. 미래에도 유물이 도난당해 해외로 반출될 수 있는데, 개발도상국 사회에서는 이런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합니다. 예술품은 쉽게 수집되고, 쉽게 가져가고, 쉽게 도난당합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그것을 헐값에 팔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문제입니다.
우리 정부에는 고고학부 산하에 큐리오 센터가 있는데, 이곳에서 유물이 국외로 반출될 때 걸작이 아니라고 인증서를 발급합니다. 그들은 “이것은 복제품”이라고 쓰고, 진짜 걸작은 해외로 빠져나갑니다. 이것이 우리의 문제입니다.
세세한 기관 간 협력이 없으면 유물은 네팔을 떠날 수 없지만, 비행기, 택배, 항구를 통해 나갑니다. 국경에서 물건이 검사되지만, 어떻게 유물이 해외로 나가는지 매우 흥미롭습니다. 정부, 일부 공무원, 세관 직원 간의 공모가 없으면 추적이 어렵습니다. 20년, 30년, 50년 전에 유물이 해외로 나갔지만, 여기에는 그 유물이 네팔 출신임을 잘 아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도난당한 락슈미와 나라얀의 사례처럼, 사람들은 그것이 우리의 유물이라고 추측만 할 뿐입니다. 그것이 네팔의 락슈미와 나라얀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증거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유일한 증거는 인벤토리인데, 우리는 그것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JB: 그렇군요. 인벤토리가 없네요.
RPD: 네, 우리는 인벤토리가 없고, 단지 “이것은 우리의 유물이다”라는 진술만 있습니다. 그러나 소유권이 언제 바뀌었는지 쉽게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유물을 합법적이고 적절한 방식으로 주장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문제입니다.
JB: 결국 모든 것이 다시 인벤토리와 체계로 귀결되는군요. 마지막 질문입니다. 귀중한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국과 유럽의 큐레이터, 박물관, 그리고 관객들이 귀하의 활동과 평생의 사명에 동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네팔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우리가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RPD: 맞습니다. 우리는 네팔의 도난 유물 목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책도 있습니다. 이 책에는 도난당한 네팔 유물의 이미지가 실려 있습니다. **《네팔의 도난 이미지(Stolen Images of Nepal)》**라는 이 책을 통해, 해외의 예술 애호가들이 박물관이나 다른 장소에서 해당 유물을 발견하면 반환 절차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제대로 된 인벤토리가 아닙니다.
락슈미와 나라얀 유물의 경우도 이 책의 이미지가 당시 도난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큐레이터나 박물관 전문가가 해외에서 이 유물을 보고 정부에 “이 유물을 이 기관, 이 박물관, 또는 이 사람에게서 보았다”고 알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기관과 정부 간의 협력을 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문제입니다.
우리는 정부에 도난 유물 반환을 위한 조치를 취하라고 계속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관심이 없습니다. 작은 조직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JB: 맞습니다. 다행히도 미국 박물관은 일반적으로 인벤토리가 잘 되어 있어, 귀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PD: 네, 선진국에서는 요즘 도난 유물을 자발적으로 반환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박물관에 대한 윤리적 비난이나 법적 조치 없이 쉽게 반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관련 국가에 반환을 촉진하는 하나의 인센티브가 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의 유물들이 박물관뿐만 아니라 많은 개인 소장품에 있다는 점입니다. 이것이 반환을 매우 어렵게 만듭니다.
JB: 개인 소장품에서 반환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군요. 어디에 있는지조차 알 수 없으니까요.
RPD: 네, 개인 소장품이 문제입니다. 맞습니다, 맞습니다.
JB: 정말 시급한 문제들이네요. 시간을 내어 이 문제를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PD: 저야말로 영광이고 큰 기회입니다. 당신을 만나서, 최소한 우리의 상황과 조직에 대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으니까요. 가능하다면 박물관 분야에서 일하면서 여기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다른 재단이나 단체와 연결, 협력해 주시길 바랍니다.
네트워킹 기회를 찾게 된다면, 네, 네, 제발 네팔의 대사가 되어 주세요.
JB: 네, 계속 연락하겠습니다. 제가 집으로 돌아가면 그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제 기쁨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RPD: 그리고 앞으로 우리의 만남을 통해 어떤 프로그램적인 혜택도 얻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네.
JB: 희망적이네요. 그것이 제 바람입니다. 박물관은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곳이고, 그것이 박물관의 아름다운 점입니다. 감사합니다.
RPD: 감사합니다.

Jeanne Brasile is currently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Hunterdon Art Museum in Clinton, New Jersey. She is also an artist, curator and art writer. She met Ramesh Prasad Dawadi while on a one month residency in Space A in Kathmandu, Nepal where she made pottery, interviewed arts professionals, and worked on a series of mixed media drawings influenced by her meditation practice.
Chief Editor Paris K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