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Hyungjin Park
"I create art by channeling signals from the universe to express the unseen connections between all forms of life."
Interview By Paris Koh
1. Please introduce yourself and tell us about your background as an artist.
I was born in Seoul in 1968 as the eldest of two sons and one daughter. I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at Suwon University and have been based in Seoul throughout my artistic career. Currently, I continue to work under the theme of “Drawing a Line in the Universe,” and I have exhibited in New York, Paris, London, and Vancouver through exhibitions and art fairs.
2. What themes or messages do you aim to convey through your work?
The overarching theme of my work is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I do not follow conventional visual methods of representation, academic theories, or traditional compositional techniques. Instead, I work by receiving signals from the universe through my body in unconscious moments and shaping those signals into visual form. My work reflects the inevitability of life and death as predetermined phenomena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niverse, and it expresses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things. It aims to reveal the beauty of newly emergent life—beyond our conditioned perceptions formed by what we see or what the media tells us.
.jpg)

Drawing lines in space, I & II, 162 x 130cm Acrylic on Canvas, thread 2025
3. What is your creative process like—from conception to completion?
When starting a new work, I first empty my mind and mentally place myself into infinite space. I lay the canvas flat on the floor and pour paint onto it to form large dots. Then, I throw thread through the air to land randomly on the canvas, creating free-flowing lines. Without trying to impose form or structure, I respond to the signals I feel from the universe and draw lines until those signals fade. When the movement of the lines stops, the work is complete.
4. What inspires your work? How does your environment affect your creative process?
Nature is the core source of inspiration in my work—plants, stones, the sky, water, humans, animals, and even microorganisms. Everything is part of nature and a part of the universe. Even microorganisms, though invisible, have brains and lead their own lives. Plants work diligently to preserve life and adapt to survive. Trees, though seemingly immobile, sense moving life and use it to spread their offspring. Everything in the universe is interconnected. This idea deeply influences my creative practice.
5. What are some challenges you’ve faced as an artist, and how have you overcome them?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s the lack of financial sustainability despite the time and effort invested in creating art. In most professions, labor yields compensation, but artists often have to support their creative process with income from outside sources. For me, this financial instability is the greatest difficulty. However, the joy of creation helps me endure and continue despite these challenges.


Self-portrait, Acrylic on wood panel, 78.74 x 78.74 x 9.85 in. 2002
Wish, 39.4 x 39.4 x 11.8 in. Mixed Media on wood panel, 2002
6. Do you think your identity as an Asian has influenced your work, or do you see it as irrelevant?
I believe people from Asia and other continents each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However, if you look at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now, the rise and fall of civilizations follow similar patterns. It’s not about where a person lives, but about how people respond to their natural surroundings over time. Those perceptions formed different cultural flow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to later generations. So while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identity between Asia and other continents, in this hyper-connected modern era, that distinctiveness is fading. I believe life will increasingly be shaped by th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 rather than their regional identity.
7. What is your daily routine as an artist? Are there specific habits or practices important to your creative process?
My creative routine begins with emptying my mind. Although “meditation” is the usual word, I think it’s more accurate to say I simply let go of all thoughts. I release joyful thoughts as well as negative ones. Letting go of even pleasant feelings is part of the process. The act of releasing myself entirely is the essential first step in my artistic creation.
8. Are there any current projects or upcoming exhibitions you’d like to share?
I am currently preparing for an exhibition at Paris Koh Fine Arts, located in New Jersey, which will run from June 1 to 14.


1.자기소개와 작가로서의 배경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나는 1968년에 서울에서 태어났고 2남 1녀중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리고 수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서울을 기반으로 작가생활을 해오고 있으며, 현재는 “우주에 선 긋기”라는 주제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뉴욕, 파리, 런던, 벤쿠버 에서 전시 및 아트페어를 진행하고 있다.
2.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나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나의 작품은 “모든 것이 이어져 있다”는 큰 주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작품제작 방식에서 기존방식인 보고 그리는 것, 일반적인 조형적인 기법과 아카데미적인 이론을 적용하지 않고 작업 하고 있다. 무의식적인 순간의 나 자신의 신체로 우주의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형상화 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 작업은 삶과 죽음이라는 필연적인 현상이 이미 우주의 틀 안에서 정해져 있고 이것은 모두 연결되어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우리가 실제로 보고 아니면 매스컴 등을 통해서 인식되어 굳어진 의식이 아닌 새롭게 탄생되는 생명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3. 새로운 작품을 시작 할 때 아이디어를 구상부터 완성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시나요.
작품을 새롭게 시작 할 때는 우선 나는 나의 마음을 내려놓고 내 머리 속으로 는 무한공간 속으로 들어갔다는 인지를 심어주기 시작한다. 그리고 캔버스를 바닥에 눕혀 놓고 그 위에 물감을 부어 큰 점을 만들고 그 위에 자유로운 선을 만들기 위해 공중에 실을 뿌려 캔버스에 내려 앉힌다. 그리고 캔버스에 뿌려진 물감으로 어떤 형식이 가미된 그림을 그리지 않고 무한공간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 움직여 선을 긋기 시작하며 그 신호가 사라질 때까지 긋는 것을 반복한다. 그리고 그 선이 멈추었을 때 작품이 완성된다.
4. 작품에 영감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또, 주변환경은 창작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나의 작품에 영감을 주는 것은 자연이다. 식물, 돌, 하늘, 물, 인간, 동물, 미생물 등이 모두 자연이고 우주의 한 부분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뇌를 가지고 있어서 자신의 생활을 한다. 식물도 자신의 생명을 이어가기 위해 부지런히 자신을 변화시키고 있고 또한 우리 눈에는 움직이지 않게 보이는 나무도 움직이는 생물을 감지하고 이용하여 자신의 자손을 퍼트리기도 한다. 우주의 모든 것은 이어져 있다. 이것은 나의 주된 작품창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5. 작가로서의 겪은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작가로서 겪는 어려움은 노력과 결과물대비 생활자금이 순환하지를 않는 다는 것이다. 다른 직종은 노력하고 일한 만큼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자금이 나오지만 작가는 작가자신이 창작과정의 비용을 다른 곳에서 벌어 충당하기에 경제적인 여건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작가는 창작의 즐거움을 위해 그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면서 갈아간다.
6. 아시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무관하다고 보시나요?
아시아인과 다른 대륙의 사람들은 각기 다른 특색을 가진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고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보면 흥망성쇠의 기점이 비슷하게 나와있다. 이것은 인간이 어디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 지역의 자연을 인간의 삶이 어떻게 받아 들이고 변했는가가 논점인 것으로 본다. 그 삶에 따라 인식차이가 발생했으며 그 인식차이가 그 지역 문화적인 흐름으로 후 세대 까지 내려온 것 이기 때문에 아시안으로서의 정체성은 근본적으로 다른 대륙과 다르지만 현대의 초 스피드적인 소통의 세대에서는 그 정체성의 특이함은 희미해 지며 인간자체의 고유성만으로 삶이 이어져 나갈 것으로 보인다.
7. 작가로서의 일상의 루틴을 말씀해 주세요. 창작과정에서 중요한 습관이나 실천이 있다면요?
작가로서 작업 할 때 일상의 루틴은 마음을 비우는 명상을 한다. 명상이라는 말도 틀린 것 같다. 그냥 생각을 내려 놓는다. 즐거운 마음도 미워하는 마음도 내려 놓는다. 즐거운 마음도 내려놔야 한다. 내 자신을 내려 놓는 단계가 작품창작의 중요한 출발 점 이다.
8. 현재 작업중인 작품이나 프로젝트, 예정된 전시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현재 작품은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Pariskohfinearts 에 6월 1일 – 14 일 까지 전시가 예정되어있다.
STAR, Mixed Media on Canvas, 78.74 x 78.74 in, 2001
Escape, Mixed Media on Canvas, 46.65 x 35.82 in. 2002
Chief Editor Paris K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