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rtist Hyojin Choi

"Through slow, layered abstraction, my Gogeon series gives form to unspoken emotions—offering a quiet resistance to the speed and superficiality of modern life, and inviting viewers into a space of reflection, presence, and transformation."

Interview By Paris Koh

1. Please introduce yourself and your background as an artist.
I’m a Korean woman living an ordinary life with my loving husband and two children. I began painting later in life, and it's now been five years since I started. I primarily work in nonfigurative painting and have received numerous awards—including Special Prizes and Honorable Mentions—in various art competitions, which have helped me gain recognition for my work. In particular, I was honored to receive the Grand Prize at the 2023 Korea Contemporary Art Awards for my painting Gogeon (考鶱).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my signature Gogeon series, which I’ve since continued to develop. I’ve also received other recognitions such as the Korea Humanitarian Award and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Award. My work and story have been featured in both the press and online media.

2. What themes or messages do you aim to convey through your work?
Through my art, I seek to express feelings and thoughts that are difficult to put into words—deep, internal stories. The Gogeon series, in particular, involves a process of repeatedly applying and drying oil paint. This slow layering mirrors my own life. In an age where everything is fast-paced and emotions are consumed quickly, I choose to move slowly and look deeply. My work captures emotions we often overlook or suppress. The series also reflects the growing disconnect in today’s digital society, where genuine communication is fading. I hope viewers will find moments of self-reflection and emotional dialogue when encountering my work.

3. What is your creative process from conception to completion?
I don’t begin with a fixed image. Instead, my work usually starts from an emotion, a thought, or a fleeting memory. I spend time feeling and mulling over these sensations, which gradually evolve into colors and compositional flow. The process begins with thin layers of underpainting—these aren’t just backgrounds, but layers of my emotions and thoughts. Once those are dry, I start building up thick oil layers, using great care and focus with every brushstroke. This layering and drying process is repeated countless times, allowing time and feeling to accumulate in the work. Each piece takes 8 months to a year to complete. Near the end, I often incorporate gold tones, gold pearl, or yarn, and I place a butterfly in the composition as a symbol of emotional release—a wish for transcendence and flight.

考騫 Go-gun 8. Break fre from the mold of all thoughts and ideals Oil on Canvas 100 x 72.5cm

Go-gun (考騫) 8. Break fre from the mold of all thoughts and ideals Oil on Canvas, 100 x 72.5cm, 2024

4. What inspires your work, and how does your environment affect your creative process?
I draw inspiration from small moments in daily life—conversations with family, my children’s gazes, the changing light outside the window. These simple yet touching experiences become the starting points of my work. The quiet of my studio is also essential; being alone with a blank canvas allows me to face my emotions and enter a state of deep immersion. On the flip side, the speed of modern life and emotional fatigue from human relationships can also form the emotional background of my work. Rather than a single spark of inspiration, my work is an accumulation of lived emotions and thoughts.

 

5. What challenges have you faced as an artist, and how did you overcome them?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s constantly facing myself. Art offers no clear answers, and results are never immediate. I often question whether I'm on the right path. Abstract painting, in particular, allows for wide interpretation, which made it difficult to gain confidence early on. Another challenge is the need for patience. Everything—competitions, exhibitions, even completing one piece—requires time. Especially with the Gogeon series, which demands immense time and effort, impatience simply won’t work. What helped me overcome these struggles was a commitment to the work itself. The daily routine of going into the studio and picking up the brush grounded me and calmed my anxieties. Eventually, I stopped worrying about others' evaluations and focused on telling my own story in my own way, which gave me greater freedom and confidence.

 

6. Do you think your identity as an Asian, and specifically as a Korean, influences your work?
Absolutely. Although my work is abstract and doesn’t feature traditional motifs or figures, I believe my identity as a Korean and as an Asian is naturally embedded in it. The way I approach expression, the depth of reflection, and my attitude toward color all reflect an Eastern aesthetic. My process of slow repetition and layering to visualize intangible emotions aligns with Eastern thought, which values inner reflection and the beauty of negative space. While my paintings may appear contemporary and abstract, they carry the sensitivity, perseverance, and emotional depth that are rooted in Korean and Asian sensibilities.

 

考騫 Go-gun 7. Break fre from the mold of all thoughts and ideals Oil on Canvas 100 x 72.5cm

Go-gun (考騫)7. Break fre from the mold of all thoughts and ideals, Oil on Canvas 100 x 72.5cm 2024

 

 

7. What is your daily routine as an artist? Do you have any habits that are important to your creative process?
I usually work at night, slowly building up layers with a palette knife. In the quiet, my emotions seep into the canvas, and colors and textures begin to converse naturally. The consistency of showing up to the studio every day, sitting with the work and interacting with it—whether actively painting or just observing—is the most important habit for me.

 

8. Please tell us about any current or upcoming works or projects.
Right now, I’m focusing on continuing my Gogeon series. This body of work consists of nonfigurative oil paintings built up with layered strokes using a palette knife to convey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pth. I’ve completed 10 pieces so far and plan to add 10 more. I aim to present the full series in a solo exhibition next year or the year after.

KakaoTalk_20250607_130750869.jpg

Go-gun (考騫) 9. Break fre from the mold of all thoughts and ideals Oil on Canvas, 100 x 72.5cm, 2024

 

 

1. 자기소개와 작가로서의 배경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저는 두 아이의 엄마이지 자상한 남편과 함께 살아가는 평범한 한국인 여성입니다. 늦은 나이에 붓을 들었고 어느새 그림을 그린지 5년이 되었습니다. 비구상 회화를 중심으로 작업해왔고, 수많은 공모전에서 특선, 특별상 등 다양한 상을 수상하며 제 이야기를 인정받아 왔습니다. 특히 ‘2023년 대한민국 현대 미술 대전’에 출품한 考鶱 으로 대상을 수상한 것을 계기로 제 대표 시리즈인 고건 시리즈를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리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 인물 대상’, ‘국회의장 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고 언론과 인터넷 매체에 소개되며 제 이야기를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2.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나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저는 작품을 통해 말로는 쉽게 표현되지 않는 감정과 생각, 그리고 내면의 깊은 이야기들을 전하고 싶어요. 특히 고건 시리즈는 반복적으로 유화를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데, 그 시간 자체가 제가 살아가는 삶과도 닮아있다고 생각해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속도를 중시하고 감정도 빠르게 소비되는 시대잖아요. 그런 흐름 속에서 저는 오히려 천천히 깊이 들여다보고 쌓아가는 과정을 통해 우리가 무심히 지나치는 감정들, 표현하지 못하는 마음들을 담아내고 싶었습니다. 또 이 시리즈에는 현대 사회의 단절, 특히 디지털 환경 속에서 진짜 소통이 점점 사라져가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도 닮겨 있어요. 그래서 관람자가 제 작품을 보며 자신만의 감정과 생각을 떠올리고, 조금이라도 자신의 내면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3.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 아이디어 구상부터 완성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시나요?

저는 특별히 정해진 이미지를 먼저 상상하고 그리는 방식보다는 감정이나 생각, 혹은 어떤 순간의 기억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아요. 마음속에 떠오르는 감정의 결이나 어떤 분위기 같은 것을 오래 느끼고 곱씹다가 그것이 자연스럽게 색감이나 화면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식이에요. 작업을 시작하면 먼저 여러 겹의 밑 색을 얇게 깔아내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그 밑 색들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제가 느낀 감정의 층이고 생각의 흐름이에요. 밑 색이 충분히 마르면 그 위에 유화를 두껍게 쌓아가며 본격적인 표현을 시작하는데, 이때는 붓질 하나하나에 많은 시간과 집중을 들여요. 마르고 다시 올리고, 또 마르고 이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면서 시간과 감정이 작품 안에 축적되는 느낌이에요. 작품 하나를 완성하기에는 보통 8개월에서 1년 정도가 걸립니다. 그 시간동안 제 삶과 감정도 함께 쌓이기 때문에, 완성된 작품은 제 안의 한 조각처럼 느껴져요. 완성 직전에는 금색이나 금색 펄, 털실을 사용하며 나비 한 마리를 통해 마무리에 메시지를 담는데 이건 마치 감정을 해방시키듯 틀을 깨고 날아가길 바라는 저의 염원이기도 합니다.

 

4. 작품에 영감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또, 주변 환경은 창작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저는 거창한 것보다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작은 감정들에서 영감을 많이 받아요. 가족과의 대화, 아이들의 눈빛, 창밖 풍경의 빛 변화처럼 사소하지만 마음에 울림을 주는 순간들이 작품의 시작점이 되고 해요. 작업실의 고요함도 저에게는 중요한 환경이에요. 혼자 있는 시간, 없이 마주한 빈 캔버스 앞에서 오롯이 제 감정과 대면하는 그 시간이 저를 깊은 몰입 상태로 이끌어요. 반대로 사회의 빠른 속도감이나 인간관계의 피로감 같은 것도 때론 작품의 감정적인 배경이 되기도 해요. 그래서 제 작업은 어느 한 순간의 영감이라기 보단, 삶 전체에서 스며든 감정과 생각들이 쌓여서 자연스럽게 표현되는 과정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5. 작가로서 겪은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작가로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끝 없이 나 자신과 마주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정답이 없고, 결과도 바로 드러나지 않는 작업의 특성상 때로는 내가 가고 있는 방향이 맞는지 스스로 묻게 됩니다. 특히 비구상 회화는 해석의 여지가 넓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확신을 갖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또 하나의 어려움은 기다립이었습니다. 공모전이나 전시, 또는 한 작품의 완성까지 모든 과정이 느리고 인내를 요구하죠. 특히 고건 시리즈처럼 시간과 정성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은 조급한 마음으로는 절대 할 수 없었어요. 이런 순간들을 극복할 수 있었던건 결국 작업 자체에 몰입하는 힘 덕분이었어요. 매일 붓을 들고 작업실에 들어가는 그 반복이 불안을 이겨내고 스스로를 단단하게 만들어주었어요. 그리고 어는 순간부터는 누군가의 평가보다는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를 나만의 방식으로 해보자는 마음이 생기면서 작업에 더 큰 자유로움과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6. 아시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작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무관하다고 보시나요?

저는 분명히 아시아인 그중에서도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제 작업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제 작품이 비구상이고 구체적인 형상이나 전통적인 소재를 다루지는 않지만, 표현하는 방식이나 사유의 깊이 색을 대하는 태도 속에 동양적인 미감과 내면성이 녹아있다고 봅니다. 특히 저는 느림과 반복, 층을 쌓아가는 작업 방식을 통해 무형의 감정을 시각화하는데, 이런 접근은 동양의 사유 방식 내면을 강조하고 여백을 중요시하는 태도와도 닿아있어요. 겉으로는 현대적인 추상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안에는 한국인의 정서, 아시아인의 섬세함과 인내심이 담겨 있다고 생각해요.

 

7. 작가로서의 일상 루틴을 말씀해 주세요.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습관이나 실천이 있다면요?

저는 주로 밤에 나이프(knife)로 천천히 레이어를 쌓아가며 작업합니다. 조용한 시간 속에서 감정이 더 배어들고 색과 질감이 자연스럽게 대화하게 되죠. 매일 작업실에 앉아 작품을 바라보고 손을 대는 그 꾸준함이 저에게는 가장 중요한 창작 습관입니다.

 

8. 현재 작업 중인 작품이나 프로젝트, 예정된 전시 소개해 주세요.

현재는 고건 시리즈에 후속작들을 집중적으로 작업 중입니다. 이 시리즈는 감정과 사고의 층을 나이프(knife)로 쌓아 올리는 비구상 유화 작품으로, 이미 10점이 완성되었고 앞으로 10점을 더 추가해 내년이나 내후년쯤 개인전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Chief Editor Paris Koh

bottom of page